2. 구글 애널리틱스의 개념과 환경 설정
계정
GA의 가장 상위 개념으로, GA 계정을 통해 새로운 속성 및 앱을 만들 수 있으며, 권한이 있으면 다른 계정을 추가할 수 있다.
속성 및 앱
GA 데이터가 실제로 저장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속성 및 앱은 웹사이트 또는 앱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해당 속성에 저장한다.
보기
GA의 가장 하위 개념으로, "뷰"라고도 불린다. 분석가가 미리 정해놓은 형태로 데이터를 정리하여 보여준다. 참고로, GA4 스탠다드 버전에서는 보기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다. 보기 구조를 확인하려면 상단 계정 선택기 영역의 검색란에 "UA- GOOGLE MERCHANDISE STORE"이라고 입력하면 된다. 보기에는 실제 분석 데이터 외에 테스트 데이터와 원천 데이터를 저장하는 3가지 기본적인 보기를 만드는 것이 원칙이다:
- Master View: 실제 GA 운영 및 분석을 위한 보기로, 실제 분석 환경에 적용된다.
- Test View: GA 테스트를 위한 보기로, 비교와 테스트를 위해 사용된다.
- Raw Data View: 원천 데이터를 그대로 저장하는 보기로, 원천 데이터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기를 만들면 만든 순간부터 데이터가 저장되기 때문에 이전의 데이터는 소급해서 저장할 수 없다.
사용자
기본적으로 GA는 웹, 앱 등의 기기에 대해 쿠키를 기반으로 클라이언트 ID(CID)라는 것을 부여해 개인을 식별한다. 이렇게 식별된 개인을 유저 또는 사용자라고 한다.
세션
데이터를 세는 단위로 상위 개념으로는 사용자가 있으며, 하위 개념으로는 이벤트가 있다. 데이터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사이트에서 사용자를 구분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맞는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GA는 사용자가 웹에 접속했을 때 식별 기준을 부여하는데, 이게 사용자 세션이다. 하나의 사용자는 여러 개의 세션을 가질 수 있다.
GA에서, 특히 UA는 세션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세션이 생겼다는 것은 웹사이트에 방문한 사람이 있다는 뜻이고, 최소 1개의 페이지 뷰가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즉, 세션은 사용자가 사이트에서 취한 행동의 집합이며, 여러 개의 페이지 뷰와 이벤트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하게 되며, GA는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활동이 없으면 자동으로 세션을 종료하고, 다시 활동하면 새로운 세션을 생성한다. 이 때문에 한 사용자가 여러 세션을 가질 수 있다.
페이지 뷰와 이벤트
페이지 뷰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얼마나 보았는지를 의미하고, 이벤트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에서 어떤 행동을 얼마나 했는지를 의미한다. GA4에서는 페이지 뷰 또한 하나의 이벤트로 취급하며, 사용자의 모든 상호작용을 이벤트 단위로 수집한다.
UA와 GA4 비교
UA와 GA4에서는 이벤트에 대한 개념과 구조가 다르게 정의된다.
이벤트의 분류에서 UA는 이벤트를 카테고리, 액션, 라벨로 나누어 정의한다. 반면 GA4에서는 이벤트 구조가 메개변수로 정의되며, 세션 기반이 아닌 순수 이벤트 기반으로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벤트 성격에 대해 UA는 세션을 기본으로 이벤트를 구성하지만, GA4는 순수 이벤트 기반으로 이벤트를 처리한다.
그리고 이벤트 구조는 UA에서는 카테고리 - 액션 - 라벨로 구성되고, GA4에서는 메개변수로 구성된다.
자동 수집 이벤트의 경우, UA는 자동 수집 이벤트가 없지만, GA4는 웹/앱 관련 자동 수집 이벤트가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이벤트 개수 제한에서는 UA는 제한이 없으나, GA4는 500개의 이벤트 개수 제한이 있다.
이러한 차이점은 UA와 GA4의 데이터 처리 방식과 구조에서 비롯된 것으로, GA4는 더 유연한 이벤트 기반의 구조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측정 기준과 측정항목: 디멘션과 메트릭
GA 보고서는 표 형태로 구성되며, 이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항목이 측정 기준과 측정 항목이다. 여기서 측정 기준은 디멘션(Dimension), 측정 항목은 메트릭(Metric)이라고 한다.
위의 이미지에서 1번 부분은 측정 기준이고 2번은 측정항목이다.
즉, 분석을 위해 나누는 기준을 측정 기준이라고 하고 이에 대한 수치 항목을 측정 항목이라고 한다.
측정 기준 (디멘션)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준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유입 원천을 구분하려면 '소스'라는 측정 기준을 사용할 수 있으며, '매체'라는 측정 기준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소스는 유입 원천, 매체는 유입 방법을 나타낸다. 보고서의 측정 기준을 변경하고 싶으면 상단의 [기본 측정 기준] 메뉴에서 다른 측정 기준을 선택하면 된다.
보조 측정 기준
GA 보고서에 추가로 측정 기준을 적용할 수 있는데, 이를 보조 측정 기준(세컨더리 디멘션)이라고 한다. 보조 측정 기준을 적용하면 데이터 분석을 더 깊이 할 수 있다. 측정 기준을 3개 이상 적용하고 싶으면 맞춤 보고서를 사용해 탐색 분석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측정 항목 (메트릭)
측정 기준과 함께 사용되는 항목으로, 특정 측정 기준에 가장 적합한 측정 항목의 조합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분석가는 측정 기준을 측정 항목과 교차해 세부적인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GA에서 정해놓은 어울리는 측정 기준과 측정 항목이 있으므로, 해당 항목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콘텐츠 그룹
웹사이트의 페이지를 성격에 맞게 묶어 놓은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품 내용을 담고 있는 웹 페이지들을 성격에 따라 미리 그룹화해 두면, 해당 그룹에 포함된 모든 웹 페이지의 페이지뷰와 이탈률 등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분석 환경 설정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