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클라우드

[GCP Associate Cloud Engineer] 클라우드란?

클라우드란 미국 국립표준기술원(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에서 이 용어를 만들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it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다음 5개의 중요한 특성을 가진다.

 

1. 고객은 주문형 및 셀프 서비스 방식으로 컴퓨팅 리소스를 얻는다.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처리 능력, 저장 공간을 얻는데, 여기에  인간의 개입이 필요 없이 필요한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2. 고객은 인터넷을 통해 연결이 되어 있는 곳이면 어디서든 해당 리소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3. 클라우드 제공자는 해당 리소스의 큰 풀을 보유하고 있고, 해당 풀에서 사용자에게 할당한다.

고객은 해당 리소스의 정확한 물리적 위치를 알거나 신경 쓸 필요가 없다.
그리고 이를 통해 공급업체는 대량으로 구매하여 절감된 비용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4. 리소스가 탄력적이다.

만약 고객에게 더 많은 리소스가 필요하면 더 많은 리소스를 신속하게 제공하고, 더 적게 필요하다면 규모를 줄일 수 있다.

5. 고객은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한다.

만약 고객이 자원 사용을 중단하면 지불도 중단된다.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과정

콜로케이션

콜로케이션은 사용자가 데이터센터를 짓기 위해 자본을 투자를 하는것 대신 물리적 공간을 임대하는 것의 재정적 효율성을 제공했다.

 

가상화된 데이터 센터

현대의 가상화된 데이터센터는 과거의 프라이빗 데이터센터 및 콜로케이션 시설과 유사하다.

서버, CPU, 디스크, 로드 밸런서 등 물리적 구성 요소가 이제 가상화된 장치로 제공되지만, 가상화를 통해 기업은 여전히 ​​인프라를 유지 관리한다.

하지만 여전히 사용자가 인프라를 구성하고 유지하고 제어하는 환경이다.

 

컨테이너 기반 아키텍처

Google은 기존 가상화 모델의 한계를 느끼고 컨테이너 기반 아키텍처로 전환했다.

자동화된 서비스와 확장 가능한 데이터로 구성된 탄력적이고 자동화된 클라우드 환경으로 서비스가 자동으로 인프라를 프로비저닝하고 구성한다.

 

Google Cloud의 비전

Google Cloud는 이 3세대 클라우드인 컨테이너 기반 아키텍처를 고객에게 제공한다.

모든 기업은 기술을 통해 경쟁사와 차별화될 것이며, 핵심은 소프트웨어와 고품질 데이터이기 때문에 결국 모든 기업은 데이터 기반 기업이 될 것이다.